오늘 한 일

axios에서 post와 get의 차이….

get: 데이터를 조회하여 가져와 사용한다 post: 서버의 상태, 데이터를 변경하는 등 구체적 작업 수행

post는 작성 시 header 부분에 content-type을 설정하여 사용할 데이터의 형식을 알려준다.

‘응답’을 받는다는 것을 잊지 말자.

axios를 instance화 하여 모듈처럼 이용한다. axios.create 를 통하여 url, param, header등을 통하여 기본적인 주소값들이나 param 값들을 저장하고

오늘 깨달은 점(+잘한 점)

분발할 점

다음에 할 일(오늘 못한 일)

버튼 컴포넌트화

사실 코드를 아직 잘 예쁘게 못 짜겠음…….

서버 주소 나오면 다음 열심히 하기 아직 localstorage 관련된 건 잘 모르겠음…..